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초과했다고 한국 행정안전부가 2024년 12월 24일 발표했습니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1년 앞당겨진 것으로, 출생률 감소와 저출산 문제가 한국 인구 구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초고령사회의 정의와 현황
- 초고령사회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뜻합니다.
- 행정안전부는 2023년 발표에서 2025년에 이 비율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으나, 2024년 12월 23일 기준 이미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인구 변화의 배경
1. 출생률 감소
-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으로, 이는 고령화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경제적 부담, 높은 주거 비용, 결혼 및 출산 기피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2. 고령화 가속
- 의료 기술 발전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인구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며 초고령사회 진입이 앞당겨졌습니다.
정부의 대응
한국 정부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연금 및 복지 제도 강화
-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민연금 개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노인복지 예산 확대와 돌봄 서비스 강화도 병행 중입니다.
2. 출생률 제고 정책
- 출산 장려를 위해 보육비 지원, 주거 안정 프로그램, 직장 내 육아 휴직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질적 성과는 제한적입니다.
3. 노동 시장 변화
- 고령화로 감소하는 경제활동인구를 보완하기 위해 고령자 재취업 지원과 외국인 노동자 유입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화 기술 도입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은 한국 사회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경제적 영향: 연금 제도와 의료 서비스 지출 증가로 인해 국가 재정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 사회적 변화: 고령화는 노동력 감소와 지역 사회 활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고령화에 적응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국가 경쟁력 유지의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